티스토리 뷰
2차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이 발표되면서 맞벌이 가구의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에 대한 궁금증이 커졌습니다. 특히 ‘가구원 수 +1’이라는 계산 방식이 헷갈리기 쉬운데요.이번 글에서는 맞벌이 3, 4, 5인 가구의 건강보험료 금액 기준을 자세히 알아볼게요.
2차 민생회복지원금 맞벌이 건강보험료 기준
2차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기준에서 중요한 포인트!
맞벌이 가구는 건강보험료 기준표를 볼 때 ‘가구원 수 +1’을 적용합니다.
즉, 실제 가족이 3명이라면 4인 가구 기준, 4명이라면 5인 가구, 5명이라면 6인 가구 기준의 건강보험료로 확인해야 한다는 뜻이에요.
✅같이 보면 좋은 글
그리고 중요한 건 소득원이 2명 이상이어야 맞벌이 가구로 인정된다는 점입니다.
직장가입자 2인, 혹은 지역가입자 중 소득이 연 300만 원 이상인 2명이 있는 경우를 의미해요.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배우자가 일을 잠깐 했다고 모두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 기준이 적용되면 건강보험료 기준선도 완화되어 지원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맞벌이 가구 건강보험료는 이렇게 계산합니다
계산은 어렵지 않아요. 핵심은 딱 세 가지입니다.
- 남편과 아내, 또는 소득자 2인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만 합산합니다.
- 장기요양보험료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 ‘가구원 수 +1’ 건강보험료를 확인합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예를 들어, 맞벌이 4인 가구라면 5인 기준으로 계산하고, 남편이 20만 원, 아내가 18만 원 낸다면 합산 38만 원입니다. 이 금액이 5인 기준인 60만 원 이하라면 지급 대상에 포함되죠.
단, 건강보험료는 2025년 6월 부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하며, 이 내역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앱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2025년 기준 맞벌이 가구별 건강보험료 커트라인 정리
2025년 6월 기준으로 맞벌이 가구의 건보료 커트라인은 아래 표처럼 적용됩니다.
실제 구성원수 |
적용 기준 (가구원+1)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계 (직장 기준) |
3인 가구 | 4인 기준 적용 | 51만 원 이하 |
4인 가구 | 5인 기준 적용 | 60만 원 이하 |
5인 가구 | 6인 기준 적용 | 69만 원 이하 |
이 기준은 직장가입자 기준이며, 지역가입자나 혼합형 가구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가구원이 많을수록 커트라인이 높아지니, 가구원 수와 소득원 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요.
아래는 맞벌이 가구대상 보험료를 산정해서 정리한 표입니다.
실제 가구원수 대로 보고 건강보험료 확인하세요.
실제 예시로 살펴보기
조금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실제 예시를 살펴볼게요.
- 예시 1: 4인 맞벌이 가구
남편 건강보험료 20만 원 + 아내 19만 원 = 합산 39만 원
→ 5인 기준 60만 원 이하로 적용 → 지원 대상 - 예시 2: 4인 맞벌이 가구
남편 34만 원 + 아내 28만 원 = 합산 62만 원
→ 5인 기준 초과 → 지원 불가
포인트는 ‘장기요양보험료’를 꼭 제외해야 한다는 점이에요.
건보료 고지서에서 확인할 때 실수로 함께 합산하면 안 됩니다.
셀프로 확인방법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요즘은 복잡한 서류 없이도 'The건강보험' 앱이나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어요.
가족 구성원 모두의 2025년 6월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내역을 조회한 후, 맞벌이 가구라면 '가구원 수 +1' 기준표와 비교하면 됩니다.
이 기준에 만족하고 고액자산가 기준(재산세 12억 초과, 금융소득 2천만 원 초과)에 해당하지 않으면, 2차 민생회복지원금 대상자로 포함될 가능성 높아요.
Q&A – 맞벌이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 이것이 궁금해요!
Q1. 맞벌이 가구는 왜 ‘가구원 수 +1’ 기준을 적용하나요?
A. 맞벌이 가구는 소득원이 2명 이상이라 소득 대비 건보료 부담이 더 크기 때문에, 보다 유리한 기준이 적용됩니다.
Q2. 장기요양보험료는 왜 빼야 하나요?
A. 2차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기준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만 포함되며, 장기요양보험료는 제외해야 정확한 계산이 됩니다.
Q3. 2025년 6월 기준 건강보험료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A.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The건강보험’ 앱 또는 지사 방문을 통해 쉽게 확인 가능합니다.
결론
맞벌이 가구는 ‘가구원 수 +1’ 기준으로 건강보험료를 계산해야 하며, 본인부담금만 합산해 확인해야 합니다. 기준 이하라면 2차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대상에 포함될 수 있으니, 꼭 확인해보세요. 간단한 조회만으로도 지원 가능 여부를 미리 체크할 수 있습니다.
'머니&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카드 현금서비스 한도발생일 | 이용기간 | 결제일 변경방법은 이렇게 (0) | 2025.09.02 |
---|---|
2025년 9월 신규상장 주식 종목| 청약 상장 일정 (5) | 2025.09.01 |
삼성카드 현금서비스 한도생성일| 결제일별 이용기간| 변경방법 (1) | 2025.08.21 |
2025년 8월 신규상장 주식 종목| 청약 상장 일정 (8) | 2025.07.21 |
키움증권 공모주 청약방법 청약시간 매도방법 (3) | 2025.07.09 |
서울사랑상품권 서울페이플러스 앱 설치 사용방법| 구매 결제 환불 이용내역 (4) | 2025.07.08 |
민생회복지원금 소비쿠폰 지역화폐 선불·신용카드 3가지 비교 (4) | 2025.07.02 |
2025년 7월 신규상장 주식 종목 | 청약 상장 일정 (5) | 2025.06.26 |